안녕하세요.
최근에 데이터 분석 파이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WS(Amazon Web Service; 아마존 웹 서비스)에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과금 이슈에 대해 공유해볼까 합니다.
저는 현재 패스트캠퍼스에서 데이터 분석 과정 부트캠프를 듣고 있습니다.
한달간 진행되는 파이널 프로젝트로 실제 기업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팀원 모두가 같은 SQL DB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고 있던 중에
다른 팀에서 AWS가 제공하는 RDS를 활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계정을 생성하고 프리 티어(Free Tier)로 사용하면 12개월간 무료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저는 소식을 듣자마자 바로 옳다구나~ 하고 냉큼 만들어 버렸는데..
이 과정에서 아무것도 모르고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는 옵션만 골랐을 뿐인데
과금이 되는 것들만 골라서 만든 직후부터 요금이 청구된다는 점을 간과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 중에서 배포 옵션에 다중 AZ DB 클러스터는 무엇인가 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기본 인스턴스 외에 예비로 두가지의 인스턴스를 따로 만들고
각각의 데이터베이스가 세계의 다른 위치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것이라고 하네요..
이게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즉시 초당 요금이 책정되는데..

이걸 만들고 한달간 방치하게 되면
무려 250만원(현재 환율 1달러에 1450원..)이라는 어마무시한 요금폭탄을 맞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이것도 모르고 약 3일동안 이 비싼 데이터베이스를 구동시키고 말았죠..
이전에 만들었던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서 청구된 항목은
- Multi-AZ (two readable standbys)
- Multi-Availability Zone — AWS RDS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고가용성과 장애 복구를 보장하기 위한 배포 방식
- two readable standbys —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인스턴스 외에 다른 region(지역)에 보조로 생성되는 읽기 전용 인스턴스
- Provisioned Stroage
- provisioned io2 IOPS — 데이터베이스나 워크로드가 높은 일관성과 빠른 성능을 요구할 때 사용하는 스토리지 유형
그리고 이 글을 작성하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2024년 2월 1일부터 DB에 접근 가능한 IP를 0.0.0.0, 즉 모두에게 개방한다면
프리 티어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여도 과금이 됩니다.
이 항목은 VPC(Virtual Private Cloud) Public IPv4 Address 라는 항목으로 시간당 $0.005씩 청구가 됩니다.
해결하려면 EC2 라는 서비스를 연결해줘야 해요. 참고1 참고2

그래서 어떻게 해결했나구요?
문의를 남기고 채팅 상담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저는 한국어로 상담하면 분명 번역기로 소통되는 과정이 있을 것 같아서 영어로 상담했는데
10분 안에 185불 크레딧을 지급해주는 걸로 신속하게 끝이 났네요!


직원분도 헷갈릴 만 하신게 인스턴스를 만들었다 지우고 다시 만들었으니..


그리고 직원분이 주신 링크를 눌러보니..

183불보다 약간 넘는 185불이 바로 지급됐습니다. 😊
제가 따로 청구서에 크레딧을 반영하지 않아도 크레딧은 자동 차감이 된다고 하네요. 👍
여러분들도 과금에 문제가 있으시다면 AWS의 Support에 들어가서 해결이 가능하니 당황하지 마시고 잘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는 제가 참고한 다른 블로그 글입니다 :
AWS 요금 청구 구제받기
내일배움캠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WS의 EC2, RDS, S3 서비스를 이용한 배포를 진행했는데 77만원 상당의 요금이 청구되었다. 결과적으로는 AWS측에 이에 대한 문의를 넣고 요금 청구에 대해 구제
velog.io
[AWS] RDS설정 하는 방법
들어가기 전에.... 백엔드/서버 개발자, DevOps, DBA 같은 직군은 데이터베이스를 다뤄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내서버에 세팅하기에는 하드웨어 비용이나 관리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고 하고
jih3508.tistory.com